힘들 땐 쉬어 가세요
영국에는 최고의 명문 고등학교로 "이튼 칼리지"가 있다.
이 학교는 600년 전에 세워진 학교이며 지금까지 총 19명의 영국 총리를 배출했다.
이 학교는 자신만 아는 엘리트의 입학은 원하지 않는다.
교과목 중 제일 중요한 과목으로 체육을 든다.
하루에 꼭 한 번 함께 축구를 해야 하며 공휴일이면 두 번을 한다.
그렇지 않으면 벌금을 내야하고 벌금을 안낼 경우 몰매를 맞는다.
왜냐하면 공부보다 체육을 통해 "함께 하는 정신"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한 겨울이면 진흙탕 속에서 레슬링을 하기도 하는데 페어플레이 정신을 기르기 위해서이다.
어느 해 졸업식 송별사에서 교장 선생님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 학교는 자신이 출세를 하거나 자신만이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은 원하지 않는다.
주변을 위하고, 사회나 나라가 어려울 때 제일 먼저 달려가 선두에 설줄 아는 사람을 원한다.
그들은 입학할 때부터 자신이 나라를 이끌어갈 사람이라는 독특한 생각을 갖고 있다'라고 영국 BBC 방송에서 방영하기도 했다.
실제 이 학교 학생 출신들은 1,2차 세계대전에서 무려 2,000명이나 죽었다.
헨리 6세의 동상 앞에 그들의 기념비가 있는데 전시 중 어떤 때에는 전교생의 70%가 참전해서 죽기도 했다.
공부를 먼저 강조하지 않는 이 학교는 놀랍게도 졸업생이 거의 대학에 진학을 하는데, 그 중 1/3은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를 졸업했다.
공부를 강조하지 않고 자긍심과 국가관, 특히 "사명감"을 강조하지만 그것이 학생들에게 엄청난 학습 유발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학교는 설립 당시부터 다음 교훈이 전통으로 내려오고 있다.
1. 남의 약점을 이용하지 마라. 2. 비굴한 사람이 되지 마라.
3. 약자를 깔보지 마라. 4. 항상 상대방을 배려하라.
5. 잘난 체 하지 마라. 6. 공적인 일에는 용기있게 나서라.
이튼칼리지 학생들이 항상 마음에 새기고 있는 글이 있다고 한다.
'약자를 위해...' '국민을 위해...' '국가를 위해...'
지금까지 우리가 받아온 교육과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생각해 보며 교육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게 된다. 정의로운 사회 공의로운 인간, 인격을 갖춘 사람으로서 공정성, 새삼 교육의 정체성을 새롭게 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된다.
우리 속담에 “모로가도 서울만가면 된다”는 말은 수단, 방법 안가리고 자기 목표만 이루면 된다는 비열한 속내를 드러내는 속담이다.
그러나 독일의 괴테는 “바른 길은 바르게 가라”고 하였다.
“올바른 목적에 이르는 길은 그 어느 구간에서도 바르다.”
우리가 살아가는 길 위에서 즐겁고 기쁜 일을 만나게 되면 가슴 뿌듯한 행복을 느끼게 된다.
길을 가다가 눈에 보여지는 모든 것들에게서 늘, 새로움의 생동감을 얻음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날마다 즐거움을 만날 수 없고 눈에 보여지는 모든 것들이 다 생동감 넘치는 행복일 수는 없다.
순탄한 길이 어디 있던가? 가다 보면 때론, 힘든 고갯마루에 앉아 눈물을 흘릴 때도 있는 법이다.
까닭 모를 서러움에 목이 메는 것은 육신이 지쳐 있어 앞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힘들 땐 쉬어 가세요"
쉼터에 앉아 눈물을 훔쳐내고 나면 닫힌 마음은 크게 열리고 생각지도 않았던 새로움의 길이 보인다.
인생은 쉼이다.
가끔은 지금 그 자리에 앉아 쉬며 온 길을 돌아볼 일이다.